본문 바로가기
경영관리

당월 입사 및 퇴사 세금 계산하기

by 아이로봇 2024. 12. 3.

 

 

당월 입사와 당월 퇴사 시 세금 처리 방법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근로자의 소득세 및 4대 보험료가 어떻게 계산되고 납부되는지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근로소득세

근로소득세는 월 급여를 기준으로 원천징수됩니다. 다음과 같은 절차로 계산됩니다.

  • 일할 계산: 입사일부터 퇴사일까지 실제 근무일수를 기준으로 급여가 산정됩니다.
  • 원천징수: 해당 급여에 대한 소득세를 급여 지급 시 사업주가 원천징수하여 국세청에 납부합니다.
  • 예를 들어, 급여가 300만 원인 직원이 15일만 근무했다면 
    • 급여: 300만 원 ÷ 30일 × 15일 = 150만 원
    • 이 150만 원에 대한 소득세를 원천징수합니다.
    참고: 퇴사 후 연말정산을 하지 못한 경우, 근로자는 다음 해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를 통해 정산해야 합니다.


2. 4대 보험료

4대 보험(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은 다음과 같이 처리됩니다:

  • 국민연금: 월 기준으로 계산되며, 근로일수에 관계없이 월 급여액 기준으로 산출됩니다.
  • 건강보험: 국민연금과 동일하게 월 기준으로 산정됩니다. 다만, 실제 근무 일수에 비례해 산출하지 않습니다.
  • 고용보험: 실근무 일수를 기준으로 계산되며, 근무한 기간 동안의 급여에 따라 산출됩니다.
  • 산재보험: 사업주가 전액 부담하며, 급여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3. 퇴사 시 유의사항

  • 급여 명세서: 입사 및 퇴사 시 급여 명세서를 반드시 확인해 원천징수된 세금 및 4대 보험료를 점검하세요.
  • 연말정산: 당월 퇴사로 인해 해당 연도에 다른 소득이 없다면, 종합소득세 신고 시 추가 환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시

  • 입사: 2024년 12월 1일
  • 퇴사: 2024년 12월 31일
  • 급여: 월 300만 원

이 경우:

  • 소득세 및 4대 보험은 12월 급여 300만 원에 대해 한 번에 원천징수됩니다.
  • 이후 연말정산이나 종합소득세 신고 시, 추가 납부 또는 환급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