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관리

유연근무제 이슈별 유형

by 아이로봇 2020. 9. 3.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하여 재택근무를 포함한 유연근무제를 많은 기업에서 시행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이후의 시대는 어떻게 변화될까요? 지금보다 더 유연근무제가 일반화되어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슈별로 유연근무제를 통해 어떤 이점이 있는지 한번 알아볼까요?

 

 

1. 인력확보 이슈가 있는 경우

시차출퇴근제, 탄력근무제, 재량근무제, 재택근무제, 원격근무제, 전환형 시간선택제 등 근로시간 및 장소의 유연화는 근로자들의 다양한 욕구와 사정에 대응할 수 있어 인력확보 및 유지에 보다 용이

 

2. 근무시간, 근무여건 개선 이슈가 있는 경우
  • 시차출퇴근제 : 근무시간 조정을 통해 원거리 출, 퇴근자 배려
  • 탄력근무제 : 탄력근무제를 통한 여가활용 효과 상승
  • 재량근무제 : 비효율적 장시간 근로 개선
  • 재택근무제 : 출, 퇴근시간 감소분만큼 피로도 감소 및 여가확보
  • 원격근무제 : 위성 사무실 또는 이동형 원격근무제로 불필요한 이동시간 및 근로자 피로도 감소
  • 전환형 시간선택제 : 임신, 육아, 건강, 돌봄 등의 사유로 전일제로 일하기 어려운 근로자의 경력단절 예방

 

3. 일, 가정 양립 관련 이슈가 있는 경우
  • 시차출퇴근제 : 자녀의 등, 하원 및 등, 하교 시각에 맞춰 출, 퇴근
  • 탄력근무제 : 근무일 및 근무시간을 조절, 육아, 가족돌봄에 필요한 시간 확보
  • 재량근무제 : 근로시간 및 업무수행 방식을 근로자 스스로 결정, 집중근무 후 육아, 가족돌봄에 필요한 시간 확보 가능
  • 재택근무제 : 출, 퇴근에 소모되는 시간을 육아 및 가족돌봄에 활용, 육아 및 가족돌봄에 돌발상황 발생 시 신속대응 가능
  • 원격근무제 : 불필요한 이동시간 및 근로자 피로도 감소로 육아, 가사에 필요한 시간과 체력을 확보
  • 전환형 시간선택제 : 일(직장)과 임신, 육아, 자기계발, 건강, 돌봄 등을 병행할 수 있는 시간과 체력을 확보

4. 생산성 향상, 비용절감 이슈가 있는 경우
  • 시차출퇴근제, 탄력근무제 : 회의시간 최적화, 집중근무 등으로 효율적은 근무가능하며 개인 사정 고려한 근무시간 조정으로 업무 몰입도 증가
  • 재량근무제 : 불필요한 야근 감소로 추가 인건비 절감, 업무량 및 시간에 대한 재량권 부여로 업무효율 증가
  • 재택근무제 : 출, 퇴근에 따른 교통비 절감, 육아 등 개인 사정으로 인한 이직 방지로 인력확보에 필요한 시간, 비용 감소
  • 원격근무제 : 업무몰입 가능한 창의적 공간(위성 사무실) 제공으로 현장 근무자의 이동형 원격근무제 실시 가능, 사무실 공간 및 운영비용 절감, 불필요한 이동시간 감소로 업무효율 증가
  • 전환형 시간선택제 : 숙련인력 이직 방지, 업무집중도 및 애사심 향상 등으로 생산성 제고 및 업무효율 증가

 

5. 고객응대, 업무량 대응 이슈가 있는 경우
  • 시차출퇴근제 : 동일한 인원으로도 고객 집중시간대에 맞춰 인원 배치를 차별화하여 고객응대 가능
  • 탄력근무제 : 단위 기간별로 고객 및 업무량이 집중되는 시기에는 근무시간을 늘리고 아닌 경우에는 줄이며 탄력 대응
  • 재량근무제 : 업무 마감시한 및 대응량에 맞춰 집중 업무 가능
  • 재택근무제 : 근로자 피로도 감소로 고객응대 서비스의 질 향상
  • 원격근무제 : 직무 및 업무몰입도 증가로 고객응대 서비스의 질 향상
  • 전환형 시간선택제 : 근로자 만족도 증가, 피로도 감소 등으로 서비스 품질 향상

출처 : 고용노동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