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모저모

임대차 계약서 갱신 종류(계약갱신 청구권, 묵시적 갱신, 합의에 의한 계약갱신)

by 아이로봇 2024. 7. 21.

 

임대차 계약서 갱신에는 계약갱신청구권, 묵시적 갱신, 합의에 의한 계약갱신의 세 가지 주요 종류가 있습니다. 각각의 갱신 종류는 법적 요건과 절차가 다르며, 임대인과 임차인의 권리와 의무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계약갱신청구권

정의:

  • 임차인이 계약 기간이 만료되기 전에 일정 기간 내에 계약 갱신을 요구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법적 근거:

  • 주택임대차보호법에 따라 임차인은 최초 계약을 포함하여 최대 2년씩 2회의 갱신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조건:

  • 임차인은 계약 종료 6개월 전부터 2개월 전까지 임대인에게 갱신을 요구해야 합니다.
  • 임대인이 갱신을 거절할 수 있는 사유가 없는 한 임대인은 갱신을 수용해야 합니다.

임대인이 갱신을 거절할 수 있는 사유:

  • 임대인 또는 임대인의 직계존비속이 주택에 실거주할 예정인 경우.
  • 임차인이 계약 조건을 위반한 경우 (예: 연체된 임대료가 있는 경우).
  • 주택을 재건축 또는 철거할 계획이 있는 경우.

2. 묵시적 갱신

정의:

  • 임대차 계약 기간이 만료되었지만, 임대인과 임차인 모두 명시적인 갱신 또는 종료 의사를 밝히지 않은 경우 자동으로 계약이 갱신되는 형태입니다.

법적 근거:

  • 주택임대차보호법에 따라, 임대차 계약이 자동으로 갱신되며, 갱신된 계약의 조건은 이전 계약과 동일합니다.

조건:

  • 임차인이 계약 만료 6개월 전부터 2개월 전까지 갱신 요구 또는 종료 통지를 하지 않았고, 임대인도 별도의 통지를 하지 않은 경우 적용됩니다.

갱신 기간:

  • 묵시적 갱신은 동일한 조건으로 2년간 연장됩니다.

3. 합의에 의한 계약갱신

정의:

  • 임대인과 임차인이 계약 만료 전에 서로 합의하여 새로운 조건으로 계약을 갱신하는 형태입니다.

법적 근거:

  • 임대차보호법에 따라, 임대인과 임차인은 자유롭게 계약 조건을 합의할 수 있습니다.

조건:

  • 임대인과 임차인이 계약 종료 전 새로운 조건(임대료, 임대 기간 등)에 대해 합의하고 이를 계약서에 반영합니다.

갱신 절차:

  • 임대인과 임차인이 서면 또는 구두로 새로운 계약 조건에 대해 합의합니다.
  • 합의된 조건을 명시한 새로운 임대차 계약서를 작성하고, 서명합니다.

요약

  • 계약갱신청구권:
    • 임차인의 권리로, 법적 요건 충족 시 임대인은 이를 거절할 수 없습니다.
    • 최대 2년씩 2회 갱신 가능.
    • 갱신 요구는 계약 만료 6개월 전부터 2개월 전까지 가능.
  • 묵시적 갱신:
    • 계약 만료 전 갱신 또는 종료 의사를 밝히지 않으면 자동으로 갱신.
    • 동일 조건으로 2년 연장.
  • 합의에 의한 계약갱신:
    • 임대인과 임차인의 합의에 의해 새로운 조건으로 계약 갱신.
    • 새로운 계약서를 작성하여 서명.

이러한 갱신 종류를 이해하고, 각 상황에 맞게 대처함으로써 임대차 계약의 연속성을 유지하고, 법적 분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