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관리

급여 인상시 보수월액변경 신고는 의무인가요?

by 아이로봇 2020. 10. 25.

급여 인상 시 보수월액 변경신고는 의무입니다. 보수월액은 4대보험(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보험료 산정의 기초가 되므로, 보수월액의 변경이 있을 때 이를 신고하는 것은 법적 의무입니다.

 

 

  • 국민연금
    • 신고 의무: 국민연금의 보수월액 변경은 사업장가입자 보수총액 변경신고서를 통해 국민연금공단에 신고해야 합니다.
    • 신고 기한: 보수가 변경된 다음 달 15일까지 신고해야 합니다.
  • 건강보험
    • 신고 의무: 건강보험의 보수월액 변경은 사업장가입자 보수월액 변경신고서를 통해 건강보험공단에 신고해야 합니다.
    • 신고 기한: 보수가 변경된 다음 달 15일까지 신고해야 합니다.
  • 고용보험
    • 신고 의무: 고용보험의 보수월액 변경은 고용보험 가입자 보수총액 변경신고서를 통해 고용보험공단에 신고해야 합니다.
    • 신고 기한: 보수가 변경된 다음 달 15일까지 신고해야 합니다.
  • 산재보험
    • 신고 의무: 산재보험의 보수월액 변경은 보수총액 변경신고서를 통해 근로복지공단에 신고해야 합니다.
    • 신고 기한: 보수가 변경된 다음 달 15일까지 신고해야 합니다.

 

신고 절차

  1. 보수총액 변경신고서 작성: 급여 인상 내용을 반영하여 각 보험 공단에서 요구하는 보수총액 변경신고서를 작성합니다.
  2. 서류 제출: 작성된 신고서를 각 보험 공단에 제출합니다. 전자신고, 팩스, 우편, 방문 제출이 가능합니다.
  3. 확인 및 납부: 변경된 보수월액을 기준으로 산정된 보험료를 납부합니다.

 

중요성

  • 보험료 정확성: 보수월액에 따라 보험료가 결정되므로, 정확한 신고를 통해 올바른 보험료를 납부해야 합니다.
  • 복지 혜택: 보수월액에 따라 국민연금 및 건강보험 혜택이 달라지므로, 근로자의 권익 보호를 위해 정확한 신고가 필요합니다.
  • 법적 의무: 신고를 하지 않거나 늦게 신고할 경우 과태료 등의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급여 인상 시 보수월액 변경신고는 반드시 해야 하며, 이를 통해 4대보험의 정확한 적용과 근로자의 권익 보호를 보장할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