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관리

주휴일, 법정공휴일, 약정휴일 (휴일) 정의

by 아이로봇 2020. 8. 19.

주휴일, 법정공휴일, 약정휴일은 각각 노동자와 고용주에게 중요한 휴일 개념입니다. 이들 각각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주휴일이란 무엇인가요?

 

주휴일은 근로기준법에 따라 일정 조건을 충족하는 근로자에게 주어지는 휴일입니다.

● 정의: 1주일 동안 소정의 근로일수를 개근한 근로자에게 주어지는 유급휴일.
  법적 근거: 대한민국 근로기준법 제55조.
  조건: 일반적으로 1주일에 15시간 이상 일하고, 주 1회 이상 소정근로일수를 개근한 근로자.
  목적: 근로자의 건강과 복지를 보호하기 위해.


· 근로기준법 제55조(휴일)

①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1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보장하여야 한다.

 

·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30조(휴일)
① 법 제55조 제1항에 따른 유급휴일은 1주 동안의 소정근로일을 개근한 자에게 주어야 한다.

 

 

법정공휴일이란 무엇인가요??

법정공휴일은 국가에서 법으로 정한 공휴일로, 국가기관 및 공공기관이 쉬는 날입니다.

● 정의: 법으로 정해진 공휴일로, 주로 공공기관에서 쉬는 날.
● 법적 근거: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 등.
● 예시: 삼일절(3월 1일), 어린이날(5월 5일), 광복절(8월 15일), 추석, 설날 등.
● 목적: 국민적 기념일을 통해 국가의 중요성을 알리고, 국민의 휴식을 보장하기 위해.

 

 

약정휴일이란 무엇인가요??

 

약정휴일은 근로자와 고용주 간의 약정(노동조합과의 단체협약, 취업규칙, 근로계약 등)으로 정한 휴일입니다.

  정의: 근로자와 고용주 간의 계약에 따라 정해진 휴일.
  법적 근거: 별도로 법률로 정해진 것은 아니며, 사업장 내의 규정에 따름.
  예시: 회사에서 추가로 지정한 휴일, 예를 들어, 회사 창립기념일, 근로자의 날(5월 1일) 등이 포함될 수 있음.
  목적: 근로자에게 추가적인 휴식을 제공하고, 회사의 규범이나 문화에 맞춘 휴일을 제공하기 위해.

 

이들 휴일은 근로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고용주와 근로자 간의 관계를 원활하게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각 휴일의 성격과 적용 범위를 정확히 이해하고, 이를 준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