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관리

2024년 4대보험 요율 및 급여계산 적용

by 아이로봇 2024. 7. 20.

2024년 한국의 4대 보험 요율과 급여에 적용하는 방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4대 보험은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보험의 요율과 적용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국민연금

  • 요율: 총 9% (근로자 4.5%, 사용자 4.5%)
  • 계산 방법: 월급여 x 9%
    • 근로자 부담: 월급여 x 4.5%
    • 사용자 부담: 월급여 x 4.5%

2. 건강보험

  • 요율: 총 7.49% (근로자 3.745%, 사용자 3.745%)
  • 계산 방법: 월급여 x 7.49%
    • 근로자 부담: 월급여 x 3.745%
    • 사용자 부담: 월급여 x 3.745%
  • 장기요양보험: 건강보험료의 12.81%
    • 근로자 부담: 건강보험료 x 12.81% / 2
    • 사용자 부담: 건강보험료 x 12.81% / 2

3. 고용보험

  • 요율: 총 1.8% (근로자 0.9%, 사용자 0.9%)
  • 계산 방법: 월급여 x 1.8%
    • 근로자 부담: 월급여 x 0.9%
    • 사용자 부담: 월급여 x 0.9%

4. 산재보험

  • 요율: 사업 종류에 따라 다름 (평균 1.56% 정도)
  • 계산 방법: 월급여 x (사업장 해당 요율)
    • 근로자 부담 없음
    • 사용자 전액 부담

예시 계산

월급여 3,000,000원을 받는 근로자의 4대 보험료를 계산해 보겠습니다.

  1. 국민연금:
    • 근로자 부담: 3,000,000 x 4.5% = 135,000원
    • 사용자 부담: 3,000,000 x 4.5% = 135,000원
  2. 건강보험:
    • 근로자 부담: 3,000,000 x 3.745% = 112,350원
    • 사용자 부담: 3,000,000 x 3.745% = 112,350원
    • 장기요양보험 근로자 부담: 112,350 x 12.81% / 2 = 7,202원
    • 장기요양보험 사용자 부담: 112,350 x 12.81% / 2 = 7,202원
  3. 고용보험:
    • 근로자 부담: 3,000,000 x 0.9% = 27,000원
    • 사용자 부담: 3,000,000 x 0.9% = 27,000원
  4. 산재보험:
    • 평균 요율 1.56% 적용 시 사용자 부담: 3,000,000 x 1.56% = 46,800원

총 요약

  • 근로자 부담 총액:
    • 국민연금: 135,000원
    • 건강보험: 112,350원
    • 장기요양보험: 7,202원
    • 고용보험: 27,000원
    • 총 합계: 281,552원
  • 사용자 부담 총액:
    • 국민연금: 135,000원
    • 건강보험: 112,350원
    • 장기요양보험: 7,202원
    • 고용보험: 27,000원
    • 산재보험: 46,800원
    • 총 합계: 328,352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