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관리

휴일과 휴무일 차이(feat. 토요근무수당)

by 아이로봇 2024. 7. 20.

휴일과 휴무일의 차이 및 토요일 근무 시 수당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휴일과 휴무일의 차이

휴일:

  • 법정휴일: 근로기준법 등 법률에 의해 보장되는 휴일. 주로 근로자의 날(5월 1일), 법정 공휴일(설날, 추석, 어린이날 등)이 포함됩니다.
  • 약정휴일: 노동조합과의 단체협약이나 취업규칙, 근로계약서 등에 의해 정해진 휴일로 회사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휴무일:

  • 근로자와 사용자가 근로계약을 통해 합의한 근무일 외의 날을 의미합니다. 주로 주말(토요일, 일요일)이 해당되며, 주 5일 근무제를 시행하는 경우에는 토요일과 일요일이 휴무일이 됩니다.

토요일 근무 시 수당

토요일 근무 시 지급되는 수당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따라 다릅니다.

  1. 주 5일 근무제에서 토요일 근무:
    • 휴무일 근로로 간주됩니다.
    • 연장근로 수당 지급: 1.5배
    • 예: 시급 10,000원인 근로자가 토요일에 8시간 근무 시, 10,000원 x 1.5배 x 8시간 = 120,000원
  2. 주 6일 근무제에서 토요일 근무:
    • 정상 근무일로 간주됩니다.
    • 별도의 수당 없이 평상시 임금 지급
  3. 주휴일 근로:
    • 주휴일에 근로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휴일 근로 수당이 적용됩니다.
    • 휴일 근로 수당 지급: 첫 8시간은 1.5배, 8시간 초과 시 2배
    • 예: 시급 10,000원인 근로자가 일요일에 10시간 근무 시, (10,000원 x 1.5배 x 8시간) + (10,000원 x 2배 x 2시간) = 140,000원

요약

  • 휴일: 법정 휴일과 약정 휴일로 구분되며, 법정 휴일에는 근로자에게 법적으로 보장된 휴일이 포함됩니다.
  • 휴무일: 근로자와 사용자 간의 합의에 따라 설정된 근무하지 않는 날로, 주로 주말이 포함됩니다.
  • 토요일 근무 수당: 주 5일 근무제에서는 휴무일 근로로 연장근로 수당(1.5배)이 지급되며, 주 6일 근무제에서는 정상 근무일로 간주되어 별도의 수당이 지급되지 않습니다.
  • 주휴일 근무 수당: 주휴일에 근무할 경우 휴일 근로 수당(1.5배 또는 2배)이 적용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