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관리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시 사업주 업무처리

by 아이로봇 2024. 7. 20.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은 근로자의 권리로 보장된 휴가입니다. 사업주는 이를 지원하고 법적 의무를 준수해야 합니다.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시 사업주가 해야 할 일은 다음과 같습니다.

 

출산전후휴가 시 사업주가 할 일

  1. 휴가 신청 접수 및 처리:
    • 근로자가 출산전후휴가를 신청하면, 이를 적절히 처리하고 승인해야 합니다.
    • 출산전후휴가는 총 90일(다태아는 120일)이며, 출산 전후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중 최소 45일은 출산 후에 사용해야 합니다.
  2. 급여 지급:
    • 출산전후휴가 기간 동안 최초 60일(다태아는 75일)은 통상 임금의 100%를 지급해야 하며, 이후 기간은 고용보험에서 지원하는 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사업주는 고용보험 지원금을 제외한 차액을 지급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3. 고용보험 신청 및 관리:
    • 출산전후휴가 급여를 지급받기 위해서는 근로자가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어야 하며, 사업주는 이를 관리해야 합니다.
    • 고용보험 사이트를 통해 출산전후휴가 급여를 신청할 수 있도록 안내합니다.
  4. 복직 준비:
    • 출산전후휴가가 끝나면 근로자가 원활히 복직할 수 있도록 준비합니다.
    • 복직 후에도 근로자가 일과 가정의 균형을 맞출 수 있도록 유연근무제를 제공하는 등의 배려가 필요합니다.

육아휴직 시 사업주가 할 일

  1. 휴직 신청 접수 및 처리:
    • 근로자가 육아휴직을 신청하면, 이를 적절히 처리하고 승인해야 합니다.
    • 육아휴직은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둔 근로자가 최대 1년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급여 지급:
    • 육아휴직 기간 동안의 급여는 고용보험에서 지원됩니다. 사업주는 이를 고용보험에 신청하여 지급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사업주는 육아휴직 급여 외에 추가적인 임금을 지급할 의무는 없습니다.
  3. 고용보험 신청 및 관리:
    • 육아휴직 급여를 지급받기 위해서는 근로자가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어야 하며, 사업주는 이를 관리해야 합니다.
    • 고용보험 사이트를 통해 육아휴직 급여를 신청할 수 있도록 안내합니다.
  4. 복직 준비:
    • 육아휴직이 끝나면 근로자가 원활히 복직할 수 있도록 준비합니다.
    • 복직 후에도 근로자가 일과 가정의 균형을 맞출 수 있도록 유연근무제, 시간제 근무 등을 제공하는 등의 배려가 필요합니다.

추가적인 사업주의 의무

  • 법적 준수: 근로자의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 권리를 보장하고, 관련 법률을 준수해야 합니다.
  • 차별 금지: 출산전후휴가 및 육아휴직 사용을 이유로 근로자에게 불이익을 주어서는 안 됩니다.
  • 복직 보장: 휴가와 휴직 후 원래 업무로의 복귀를 보장해야 합니다.
  • 상담 및 지원: 근로자가 휴가와 휴직에 대해 궁금해하는 사항을 상담하고, 필요한 지원을 제공해야 합니다.

이렇게 출산전후휴가와 육아휴직을 지원함으로써 근로자의 권리를 보장하고, 더 나은 근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