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관리

연차휴가 계산과 연차수당 발생 요건

by 아이로봇 2020. 9. 26.

연차유급휴가(연차휴가)는 근로자가 1년 동안 일정 기간 근무하면 받을 수 있는 유급휴가입니다. 연차휴가와 관련된 법적 요건 및 계산 방법, 연차수당 발생 요건을 아래에 설명하겠습니다.

  1. 연차휴가의 발생 요건

 

1년 미만 근로자:
발생 요건: 입사 후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 발생. 이후 매월 개근 시 1일씩 최대 11일의 유급휴가 발생.
발생 예시: 입사 후 매달 개근하면 1개월에 1일씩 총 11일의 휴가가 발생.

 

1년 이상 근로자:
발생 요건: 1년간 80% 이상 출근 시 15일의 유급휴가 발생.
추가 발생 요건: 이후 매 2년마다 1일씩 추가(최대 25일까지).
발생 예시: 1년간 80% 이상 출근하면 15일의 휴가가 발생하며, 3년차에 16일, 5년차에 17일 등으로 증가.

 

  2. 연차휴가 계산 방법

 

1. 근로기준법에 따른 계산
1년 미만 근로자:
입사 후 매달 개근하면 1일의 연차휴가가 발생하여, 최대 11일.
1년 이상 근로자:
1년간 80% 이상 출근 시 15일의 연차휴가.
추가적으로 2년마다 1일씩 증가하여 최대 25일.

 

 

 

2. 예시
첫해 근로자:
2023년 1월 1일 입사, 2023년 12월 31일까지 개근: 11일 발생.
2024년 1월 1일 이후: 15일 발생 (1년간 80% 이상 출근 시).
3년차 근로자:
2023년 1월 1일 입사, 2025년 1월 1일: 16일 발생.

  연차수당의 발생(지급) 요건은?

 

연차수당은 근로자가 연차휴가를 사용하지 못한 경우에 지급되는 수당입니다. 발생 요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차휴가 미사용:
연차휴가 사용기간 내에 연차휴가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미사용 연차휴가에 대해 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연차휴가 사용 촉진제도:
사용자가 연차휴가 사용 촉진을 위해 근로자에게 연차 사용 시기를 지정하도록 요구했음에도 불구하고 근로자가 연차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도 연차수당이 발생합니다.
근로기준법 제61조에 따른 촉진제도:
사용자는 근로자가 연차를 사용할 수 있도록 촉진해야 하며, 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연차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4. 연차수당 계산 방법

  • 계산 공식: 연차수당=미사용 연차휴가 일수×1일 통상임금
  • 1일 통상임금: 근로자의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계산.

예시

  • 미사용 연차휴가 5일, 1일 통상임금 10만 원: 연차수당=5일×100,000원=500,000원

연차휴가와 연차수당은 근로자의 휴식권과 재정적 보상을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제도입니다. 정확한 계산과 법적 요건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필요한 경우, 회사의 인사 담당자나 노동법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