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관리131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시 급여 계산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제도는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양육하는 근로자가 근로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보장하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를 이용하면 근로시간이 줄어드는 대신, 급여도 이에 비례하여 조정됩니다. 아래는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시 급여 계산 방법입니다.1. 근로시간 단축 비율에 따른 급여 조정단축된 근로시간 비율에 따라 기본 급여는 비례하여 줄어듭니다.예를 들어, 주 40시간 근무에서 주 30시간으로 단축하는 경우, 근로시간이 25% 줄어드므로 급여도 약 25% 감소하게 됩니다.2. 기본 급여 계산 공식단축 후 급여 = 기존 급여 × (단축 후 근로시간 / 기존 근로시간)예시: 기존 급여가 월 300만 원이고, 주 40시간에서 주 30시간으로 단축한 경우:단축 후 급여 = 3,.. 2024. 8. 14.
퇴직금 중간정산 사유 및 구비서류 퇴직금 중간정산은 근로자가 퇴직 전에 퇴직금을 일부 또는 전부를 정산받는 제도입니다. 법적으로 허용되는 특정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가능하며, 그에 따른 구비서류가 필요합니다. 아래에서 퇴직금 중간정산 사유와 각 사유에 따른 구비서류를 정리해보겠습니다.1. 퇴직금 중간정산 가능 사유무주택자의 주택 구입무주택자인 근로자가 본인 명의로 주택을 구입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전세금 또는 보증금의 부담무주택자인 근로자가 전세금 또는 보증금을 부담하는 경우.본인 또는 부양가족의 질병 또는 부상근로자 본인 또는 부양가족의 질병 또는 부상으로 인해 6개월 이상의 요양을 필요로 하는 경우.천재지변 등으로 인한 피해 복구천재지변 등으로 인해 본인 또는 가족이 재산상 피해를 입고 복구비가 필요한 경우.퇴직금 중간정산 시행일.. 2024. 8. 14.
휴일대체와 대휴제도, 보상휴가제의 차이점 휴일대체, 대휴제도, 그리고 보상휴가제는 모두 근로자가 일을 쉬거나 보상받는 방식과 관련된 개념이지만, 각각의 적용 방식과 목적에 차이가 있습니다. 아래에서 각 제도의 차이점을 설명하겠습니다. 1. 휴일대체휴일대체는 법정휴일 또는 약정휴일을 다른 날로 미리 바꿔서 지정하는 제도입니다.적용 시기: 휴일대체는 해당 휴일이 도래하기 전에 미리 결정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특정 공휴일에 근로를 해야 할 경우, 그 휴일을 다른 날짜로 변경하여 대체휴일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목적: 휴일에 근로를 해야 하는 경우, 해당 휴일을 다른 날로 대체하여 근로자의 휴식권을 보장하기 위함입니다.절차: 휴일대체는 근로자 대표와의 협의나 근로계약서, 취업규칙 등을 통해 미리 약정해야 합니다.예시: 설날이 휴일로 정해져 있는데, .. 2024. 8. 13.
상시근로자수의 계산방법과 근로자수에 따른 근로기준법 적용 상시근로자수는 사업장에서 특정 기간 동안 평균적으로 고용된 근로자의 수를 의미하며, 이는 노동법의 적용 범위와 관련이 깊습니다. 상시근로자수를 계산하는 방법과 근로자 수에 따른 노동법의 적용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1. 상시근로자수 계산 방법상시근로자수는 일정 기간 동안 사업장에서 평균적으로 근무한 근로자의 수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아래의 절차에 따라 계산됩니다:기준 기간 설정: 보통 1개월이나 1년을 기준으로 합니다.일일 근로자 수 계산: 매일 근로한 근로자의 수를 집계합니다. 여기에는 정규직, 계약직, 일용직, 시간제 근로자 모두 포함됩니다.총 근로자 수 계산: 기준 기간 내의 모든 일일 근로자 수를 합산합니다.평균 근로자 수 계산: 기준 기간의 총 일수로 나누어 평균값을 구합니다.상시근로자수 = 기.. 2024. 8.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