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관리131

급여 일할계산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자 급여 일할계산은 근로자가 한 달 동안 모든 근무일을 채우지 못한 경우, 실제 근무한 일수에 비례하여 급여를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입사일, 퇴사일, 병가, 휴가 등 다양한 상황에서 필요할 수 있습니다. 급여 일할계산 방법 1. 월 급여 계산: 월 급여 = 연봉 ÷ 12  2. 일할계산 급여: 일 급여 = 월 급여 ÷ 해당 월의 총 근무일수 일할계산 급여 = 일 급여 × 실제 근무일수   예시 1. 기본 정보: 연봉: 36,000,000원 해당 월 (예: 7월)의 총 근무일수: 22일 (주말 및 공휴일 제외) 실제 근무일수: 15일 2. 월 급여 계산: 월 급여 = 36,000,000원 ÷ 12 = 3,000,000원 3. 일할계산 급여: 일 급여 = 3,000,000원 ÷ 22일 = 136,363.6.. 2020. 10. 27.
산재보험(산업재해보상금) 보상 종류와 신청처리 절차 산재보험(산업재해보상보험)은 근로자가 업무 중에 발생한 사고나 질병으로 인해 부상, 질병, 장애, 사망 등에 이르렀을 때 보상을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산재보험에서 제공하는 보상 종류와 신청 절차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산업재해(산재) 보상 종류 요양급여대상: 업무상 재해로 인해 치료가 필요한 경우.내용: 치료비, 입원비, 수술비 등.휴업급여대상: 업무상 재해로 인해 치료 기간 동안 일을 하지 못하는 경우.내용: 요양 중에 발생하는 소득 손실 보전 (평균임금의 70%).  장해급여대상: 업무상 재해로 인해 치료 후 신체적 장애가 남은 경우.내용: 장애의 정도에 따라 일시금 또는 연금으로 지급.유족급여대상: 근로자가 업무상 재해로 사망한 경우.내용: 유족에게 지급하는 유족급여 (연금 또는 일시금).   .. 2020. 10. 26.
급여 인상시 보수월액변경 신고는 의무인가요? 급여 인상 시 보수월액 변경신고는 의무입니다. 보수월액은 4대보험(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보험료 산정의 기초가 되므로, 보수월액의 변경이 있을 때 이를 신고하는 것은 법적 의무입니다.  국민연금신고 의무: 국민연금의 보수월액 변경은 사업장가입자 보수총액 변경신고서를 통해 국민연금공단에 신고해야 합니다.신고 기한: 보수가 변경된 다음 달 15일까지 신고해야 합니다.건강보험신고 의무: 건강보험의 보수월액 변경은 사업장가입자 보수월액 변경신고서를 통해 건강보험공단에 신고해야 합니다.신고 기한: 보수가 변경된 다음 달 15일까지 신고해야 합니다.고용보험신고 의무: 고용보험의 보수월액 변경은 고용보험 가입자 보수총액 변경신고서를 통해 고용보험공단에 신고해야 합니다.신고 기한: 보수가 변경된 다.. 2020. 10. 25.
퇴사자 발생시 4대보험 퇴직정산 업무처리 퇴사자가 발생하면 퇴직신고와 퇴직정산금을 지급해야 합니다. 그리고 4대보험 상실신고 또한 해야 합니다. 4대 보험상의 퇴직일자는 마지막 근무일 다음 날을 말합니다. 실무상 4대보험 상실 신고는 어떻게 해야하는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1. 국민연금 퇴직자 정산 국민연금은 은퇴 후 더 이상 직장생활을 할 수 없거나 생업에 종사하지 못하는 시기를 대비하기 위해 개인이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보험입니다. 개인이나 본인의 가족에게 재정적 지원을 제공합니다. 근로자가 퇴직해 가입 자격을 상실하면 사업주는 퇴직이 발생한 달 말까지 국민연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보험료는 월 보험료를 전액 지불해야 합니다. 근로자가 더 이상 국민연금을 받을 수 없는 경우 '사업장가입자자격상실신고서'를 작성해 퇴직일 다음 달 15일까지 .. 2020. 10.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