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기준법의 주휴일(유급휴일)과 주휴수당 산정방법
근로기준법상의 "휴일"을 부여하도록한 취지 연속된 근로로부터 피로회복과 건강을 유지하여, 인간으로서의 사회적, 문화적 생활을 향유하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휴일의 개념과 종류 ⊙ 휴일의 개념 : 근로자가 근로를 제공할 의무가 없는 날로, 사용자의 지휘명령에서 완전히 벗어나 근로를 제공하지 않는 날을 의미합니다. ⊙ 휴일의 종류 : 법정휴일(법에서 정한 휴일), 약정휴일(노사 당사자가 정한 휴일)로 나뉩니다. ■ 휴일의 구분 구분 종류 시기 근거 법정휴일 주휴일 통상 일요일 (사업장, 대상별로 특정일을 정할 수 있음) 근로기준법 제55조 근로자의 날 매년 5.1. 근로자의 날 제정에 관한 법률 관공서 공휴일 1. 3·1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 2. 1월 1일 3. 설날 전날, 설날, 설날 다음날 4. ..
2020. 10.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