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관리131

근로기준법의 주휴일(유급휴일)과 주휴수당 산정방법 근로기준법상의 "휴일"을 부여하도록한 취지 연속된 근로로부터 피로회복과 건강을 유지하여, 인간으로서의 사회적, 문화적 생활을 향유하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휴일의 개념과 종류 ⊙ 휴일의 개념 : 근로자가 근로를 제공할 의무가 없는 날로, 사용자의 지휘명령에서 완전히 벗어나 근로를 제공하지 않는 날을 의미합니다. ⊙ 휴일의 종류 : 법정휴일(법에서 정한 휴일), 약정휴일(노사 당사자가 정한 휴일)로 나뉩니다. ■ 휴일의 구분 구분 종류 시기 근거 법정휴일 주휴일 통상 일요일 (사업장, 대상별로 특정일을 정할 수 있음) 근로기준법 제55조 근로자의 날 매년 5.1. 근로자의 날 제정에 관한 법률 관공서 공휴일 1. 3·1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 2. 1월 1일 3. 설날 전날, 설날, 설날 다음날 4. .. 2020. 10. 7.
휴게시간 부여방법(feat. 잘못된경우) 근로시간이 4시간 경우 30분이상 휴게시간을 부여하는지, 혹은 8시간인 경우 1시간 이상의 휴게시간을 부여하고 있는지 노무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입니다. 근로기준법에 규정되어 있는 휴게시간의 부여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 근로기준법 규정 제54조(휴게) ① 사용자는 근로시간이 4시간인 경우에는 30분 이상, 8시간인 경우에는 1시간 이상의 휴게시간을 근로시간 도중에 주어야 한다. ② 휴게시간은 근로자가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제50조(근로시간) ③ 제1항 및 제2항에 따른 근로시간을 산정함에 있어 작업을 위하여 근로자가 사용자의 지휘 · 감독 아래에 있는 대기시간 등은 근로시간으로 본다. 벌칙(제110조)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 휴게시간의 의미 근로시간 도중에 사용자.. 2020. 10. 6.
법정 소정 연장 야간 휴일 근로시간 개념 장시간 근로는 근로자의 건강, 문화적 생활을 위협하고 노동능률을 저하시키므로 법에서는 1주 및 1일의 근로시간 한도를 설정하고 있습니다. 근로시간은 임금과도 직결되기 때문에 근로시간의 의미를 알고 관리해야 합니다. 근로시간과 관련된 개념에 대해 알아보자 ■ 법정근로시간 말 그대로 법에서 정한 기준 근로시간입니다. - 통상근로자는 1일 8시간, 1주 40시간입니다. - 다만, 법에서는 근로자의 연령 또는 직업 성질에 따라 법정근로시간을 달리 정합니다. 구 분 의 미 통상근로자 1일 8시간, 1주 40시간 연소근로자(18세 미만) 1일 7시간, 1주 35시간 유해 · 위험작업 종사 근로자 (높은 기업에서 하는 작업 등) 1일 6시간, 1주 34시간 ■ 소정근로시간 법정근로시간 내에서 근로자와 사용자 사이에 .. 2020. 9. 29.
고용유지지원금 지원조건 및 지원절차 코로나 사태 이후로 고용유지지원금 규모가 계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추경... 코로나가 장기화 되고 있는 현실에서 언제까지 고용유지지원금에 대한 예산이 지원 될까요? ㅠㅠ 이뿐만이 아닌 여러 경제지원 정책들... 코로나로 인하여 향후 경제적 위기가 더 크게 오지 않을까 걱정입니다... 각설하고, 고용유지지원금 지원 조건과 지원 절차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고용유지지원금제도의 목적은 무엇인가요? 매출액, 생산량 감소 등으로 고용조정이 불가피하게 된 사업주가 휴업, 휴직 등 고용유지 조치를 실시하는 경우 이를 지원함으로써 근로자의 실직을 예방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고용조정이 불가피한 사유란 무엇인가요? 고용유지조치 실시 첫날이 속하는 달의 직전달(기준달)의 1. 말일의 재고량이 직전 연도의 월평.. 2020. 9.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