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관리131 연차휴가 계산과 연차수당 발생 요건 연차유급휴가(연차휴가)는 근로자가 1년 동안 일정 기간 근무하면 받을 수 있는 유급휴가입니다. 연차휴가와 관련된 법적 요건 및 계산 방법, 연차수당 발생 요건을 아래에 설명하겠습니다. 1. 연차휴가의 발생 요건 1년 미만 근로자:발생 요건: 입사 후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 발생. 이후 매월 개근 시 1일씩 최대 11일의 유급휴가 발생. 발생 예시: 입사 후 매달 개근하면 1개월에 1일씩 총 11일의 휴가가 발생. 1년 이상 근로자:발생 요건: 1년간 80% 이상 출근 시 15일의 유급휴가 발생. 추가 발생 요건: 이후 매 2년마다 1일씩 추가(최대 25일까지). 발생 예시: 1년간 80% 이상 출근하면 15일의 휴가가 발생하며, 3년차에 16일, 5년차에 17일 등으로 증가. 2. 연차휴가.. 2020. 9. 26.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은 의무인가요?(자체 교육자료 포함) 2018년 5월 29일부터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이 법정 의무 교육으로 되었기 때문에, 성희롱예방교육 뿐만 아니라, 사업주분들은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도 진행해야 한다는 점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2020년 한해도 3개월 정도 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이번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을 진행하지 않는 사업주분들은 미리미리 진행하셔야 합니다.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이 왜 필요할까요? 사업주가 장애인에 대한 직장 내 편견을 없애기 위하여, 장애인 근로자의 안정적인 근무여건을 조성하고 장애인 근로자채용이 확대될 수 있도록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을 실시하는 것입니다. 관련 법령에 대하여 알아볼까요?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제5조의2(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동법 제86조(과태료)에.. 2020. 9. 25. 직장 내 성희롱예방 교육(자료,매뉴얼,대응) 직장 내 성희롱예방 교육은 의무교육이라 필수로 진행해야 하는건 다 아시죠? 시대가 어느 시대인데 아직도 그런 행동을 하느냐?라고 생각하실수도 있겠지만, 우리가 모르는 곳곳에서 아직까지도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얼마전 서울시장 사건도 있겠지요... 성과 관련된 문제는 왜 끊이질 않을까요? 휴... 인사 및 교육 담당자님들은 올해 지나가기전에 꼭 교육을 실시하시기 바랍니다. 하단에 있는 고용노동부에 제공하는 정보를 활용해보세요! 직장 내 성희롱은 무엇일까요? 사업주, 상급자 또는 근로자가 직장 내의 지위를 이용하거나 업무와 관련하여 다른 근로자에게 성적 언동 등으로 성적 굴욕감 또는 혐오감을 느끼게 하거나 성적 언동 또는 그 밖의 요구 등에 따르지 아니하였다는 이유로 근로조건 및 고용에서 불이익을 주는 것.. 2020. 9. 18. 퇴직금 계산방법(예시포함) 퇴직금 계산은 근로자가 퇴직할 때 지급되는 중요한 금액으로, 평균임금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퇴직금 계산 방법은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에 따라 정해져 있습니다. 다음은 퇴직금 계산의 기본적인 방법과 절차입니다 1. 퇴직금 계산 공식 퇴직금 = (1일 평균임금) × (30일) × (재직일수 ÷ 365) ■ 각 항목의 구체적인 계산 방법1. 1일 평균임금 계산평균임금은 퇴직 사유 발생일 이전 3개월간의 총 임금(소득)을 해당 기간의 총 일수로 나누어 계산합니다.1일 평균임금= 퇴직 전 3개월간의 총 임금 / 퇴직 전 3개월간의 총 임금퇴직 전 3개월간의 총 일수총 임금: 기본급, 상여금, 수당 등 모든 임금을 포함합니다.총 일수: 퇴직 전 3개월 동안의 일수(보통 90일)입니다. 2. 재직일수 계산재직일수.. 2020. 9. 16.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 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