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관리131 일용근로자 실무상 업무처리(세법,4대보험) 일용근로자는 일정 기간 동안 고용계약을 체결하여 일하는 근로자로, 세법과 4대보험에 따른 실무 처리가 상시근로자와는 다릅니다. 일용근로자에 대한 실무 처리 절차를 설명드리겠습니다. 1. 일용근로자 세법 처리소득세 원천징수원천징수 의무: 사업주는 일용근로자의 급여 지급 시 소득세를 원천징수해야 합니다.세율: 일당 15만원 이하일 경우 비과세, 15만원 초과시 세율 적용.원천징수 방법:근로소득 간이세액표에 따라 계산.국세청에서 제공하는 간이세액 계산기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지급명세서 제출제출 의무: 매 분기 다음 달 10일까지 국세청에 일용근로소득 지급명세서를 제출해야 합니다.제출 서류: 일용근로소득 지급명세서.제출 방법: 홈택스를 통해 전자 제출하거나, 세무서를 통해 제출.소득세 납부납부 기한: 매월.. 2020. 10. 25. 개인정보보호 교육 의무인가요?(개인정보보호법 Q&A, 과태료여부, 교육자료) 올해가 몇달 안남았습니다. 그러면서 아직 법정의무교육을 진행하지 못한 사업주분들은 의무교육과 관련하여 진행 검토를 하고 계실텐데요. 그 중에서도 개인정보보호 교육은 의무인지?에 대하여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그외에 개인정보보호법에 대한 Q&A 내용을 살펴 보겠습니다. 개인정보보호법 제정 취지 개인정보 침해로 인한 국민의 피해 구제를 강화하여 사생활의 비밀을 보호하고 개인정보에 대한 국민의 권리와 이익을 보장하기 위하여 법이 제정되었습니다. 개인정보란? - 성명, 주민등록번호 및 영상 등을 통하여 살아있는 개인을 알아볼 수 있는 정보를 말합니다. - 다른 정보와 쉽게 결합하여 개인을 알아볼 수 있는 정보를 말합니다. ※ 개인정보 보호법은 정보통신망법과는 달리 이용자뿐 아니라 임직원, 주주, 협력업체 .. 2020. 10. 14. 배우자 출산휴가 핵심요약 및 Q&A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배우자 출산휴가 제도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정확한 내용을 모르는 경우가 많으며 또한, 알고는 있지만 회사 내에서 당당하게 사용을 못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우선지원대상기업인 경우에는 일정부분 고용보험에서 급여를 지원하는 등 사업주에게 부담을 주지않으면서 직원들이 쓸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지요. 배우자 출산휴가에 대하여 간단하게 핵심만 알아보겠습니다. 배우자 출산휴가란 무엇인가? 배우자 출산휴가는 근로자가 배우자의 출산을 이유로 휴가를 청구하는 경우 10일의 유급휴가를 부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배우자 출산휴가 부여의 취지는 무엇인가? 배우자의 출산에 따른 배우자의 건강보호와 태어난 자녀의 양육을 위해 휴가를 부여(남성의 육아 참여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 조성)하는데 취지가 있습니다... 2020. 10. 13. 실업급여 제도 요약(지급대상,조건,내용,신청방법) 실업급여 제도는 고용보험 가입 근로자가 실직하여 재취업 활동을 하는 기간에 소정의 급여를 지급하고, 미래에 실업이 발생하게 될 경우, 생계불안을 극복하고 생활의 안정을 도와주며 재취업의 기회를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 실업급여는 크게 구직급여와 취업촉진수당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구직급여 1. 사업 목적 이직한 피보험자가 근로의 의사와 능력이 있음에도 취업하지 못한 상태에서 재취업활동을 하는 기간에 생활안정 및 재취업 지원에 목적이 있습니다. 2. 지급 대상 이직일 이전 18개월간 피보험단위기간 180일 이상 근로하고, 회사의 경영상 해고 등 비자발적으로 이직하여 상시 취업이 가능한 상태에서 적극적으로 재취업활동을 하는 사람이 대상입니다. 3. 지원 내용 (구직급여) 이직 당시 연령과 고용보험 가입기간(피.. 2020. 10. 12. 이전 1 ··· 18 19 20 21 22 23 24 ··· 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