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관리131

유형별 법정근로시간 법정근로시간이란 무엇인가요? 법정기준 근로시간은 근로자가 근로를 제공할 수 있는 시간의 상한선을 의미합니다. 근로시간은 근로자가 사용자의 지휘, 감독하에 근로계약상의 근로를 제공하는 시간으로, 작업개시에서 종료까지 휴게시간을 제외한 실근로시간을 의미합니다. 법정기준 근로시간은 장시간의 근로를 방지하기 위하여 근로기준법에서 정하고 있습니다. 근로자 유형별 법정근로시간에 대하여 한번 알아볼까요? 《법정 근로시간 등 제한》 법정근로시간 연장근로 야간근로 휴일근로 1일 1주 남성근로자 8시간 40시간 당사자합의 1주 12시간 - - 여성근로자 8시간 40시간 당사자합의 1주 12시간 본인동의 본인동의 산후 1년 미만 여성근로자 8시간 40시간 당사자합의 1일 2시간 1주 6시간 1년 150시간 본인동의 고용노동.. 2020. 8. 25.
퇴직연금제도 종류 직장인들은 안정적인 노후생활을 위해서는 본인의 퇴직금을 잘 관리해야 합니다. 최근에는 개인연금을 많이들 가입하기도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직장생활을 하는 분들이라면 퇴직연금이 가입되어 있을겁니다. 회사에서도 설명해주기도 하지만 자세히는 설명을 안해줄거에요 이번시간에는 퇴직연금제도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퇴직연금제도란 무엇인가요? 근로자의 안정적인 노후생활 보장을 위하여 기업이 금융기관에 퇴직금을 적립하고 근로자가 퇴직할 때 일시금 또는 연금형태로 선택하여 수령할 수 있는 제도를 말합니다. 당초 퇴직금 제도는 근로자 퇴직후의 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지만 일시금제도로 인해 그 본연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에서는 사용자가 퇴직자에게 퇴직금을 지급하기 위하여 퇴직급여제도 중 하나이상.. 2020. 8. 24.
퇴직금 중간정산 유의사항 퇴직금 중간정산을 고려할 때는 몇 가지 유의사항과 주의사항을 반드시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다음은 퇴직금 중간정산 시 주의해야 할 주요 사항들입니다. ※ 퇴직금 중간정산사유는 위 이미지 클릭하시면 법제처 사이트로 이동되오니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법적 요건 확인 법적 사유: 퇴직금 중간정산은 법적으로 허용된 특정 사유에 대해서만 가능합니다. 해당 사유에 해당하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무주택자의 주택 구입 - 질병 치료 - 천재지변 - 기타 고용노동부 장관의 승인을 받은 경우 등2. 중간정산 절차 준수 근로자의 서면 요청: 근로자는 퇴직금 중간정산을 서면으로 요청해야 하며, 이를 증빙할 수 있는 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 사용자와의 합의: 근로자와 사용자가 합의해야 하며, 서면 합의서를 작성해.. 2020. 8. 20.
주휴일, 법정공휴일, 약정휴일 (휴일) 정의 주휴일, 법정공휴일, 약정휴일은 각각 노동자와 고용주에게 중요한 휴일 개념입니다. 이들 각각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주휴일이란 무엇인가요? 주휴일은 근로기준법에 따라 일정 조건을 충족하는 근로자에게 주어지는 휴일입니다. ● 정의: 1주일 동안 소정의 근로일수를 개근한 근로자에게 주어지는 유급휴일. ●  법적 근거: 대한민국 근로기준법 제55조. ●  조건: 일반적으로 1주일에 15시간 이상 일하고, 주 1회 이상 소정근로일수를 개근한 근로자. ●  목적: 근로자의 건강과 복지를 보호하기 위해.· 근로기준법 제55조(휴일)①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1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보장하여야 한다.  ·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30조(휴일) ① 법 제55조 제1항에 따른 유급휴일은 1주 동안의 소정근로일을 개.. 2020. 8. 19.